이승우
영남대학교 문사 영남대 문학석사 영남대 문학박사 |
논문 「고소설을 활용한 문학관의 운영 방안 검토 - ‘김광순 소장 필사본’을 중심으로」,민족문화논총 88집, 2024. 「종교문화유산의 활용을 위한 시론 -천주교 안동교구를 중심으로」, 민족문화논총 84집, 2023. 「'경산종묘산업특구’의 활용 방안 검토」, 민족문화논총 82집, 2022. 「노상추일기의 현재적 가치와 활용 방안」,민족문화논총 82집, 2020. 「근대와 지역의 메타포 -역전의 장소성과 스토리텔링」, 동아인문학 58, 2022. 「≪일성록(日省錄)≫의 향사례(鄕射禮) 연구」,동아인문학 57,2021. 「멀티 페르소나의 사례와 의미 - '부캐'를 중심으로」,한국문예창작 19, 2020. 「중국 개항장 문학공간의 의미 -톈진(天津) 배경 소설을 중심으로-」,동아인문학 47, 2019. 「영남대로’의 브랜드스토리텔링을 위한 제언」,동아인문학, 2018, 「문화원형을 활용한 대구지역 한방의료관광 발전방안 연구」,동아인문학, 2016. 「중국 현대 고장희의 '희설'연구」, 동아인문학, 2013 「공자학원의 문화전파 이론과 모델」, 동아인문학,2013 「90년대 중국지식분자적 사상분화」 , 동아인문학,2010. 「중국 소셜미디어에 나타난 국가 기억의 연속과 변화」,국제문화연구 「剖析中國"凡人類"仙俠小說」,국제문화연구 「1930년대 신계몽운동의 몇 가지 문제」,국제문화연구 「中國科幻硏究動態和前膽」,국제문화연구 「評述1930年代中國新啓蒙運動」국제문화연구 저서 『경산의 생활사와 기억』,2023. 『상하이, 공간과 기억: 상하이 문화지도』,2023. 『시대적 사명과 인문학의 역할』,2020. 『영화로 읽는 중국』,2021 『가볍게 읽는 향기와 욕망 이야기』,2020. 『디지털인문학』,2019. 『한류와 중국의 대중문화』,2018 『중국어로 배우는 중국문화』,2017 『동아시아와 한국의 근대』,2009 『중국, 한국과 세계』,2004 |
1993~2003 중국 남개대학 근현대연구센터 연구원 1994~2013 영남대학교 중국연구센터 연구원 2014~2024 대구한의대학교 중국어과, 기초교양대학 교수 2020~2023 교양교육진흥센터장, DHU문화콘텐츠센터장 2024.4~현재 국제문화연구소 소장 2024.10~현재 영덕지역발전협의회 전문위원 2020~현재 대구시의회 교육위원회 자문위원 동아인문학회 부회장, 역임 대구사학회, 중국사학회 연구이사 HSK 대구경북지역위원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