정구은
단국대학교 예술대학 서양화 전공(학사학위)졸업 Ecole des Beaux-Arts de Dunkerque DNAP학사학위(프랑스)졸업 Ecole des Beaux-Arts de Dunkerque DNSEP석사학위(프랑스)졸업 영남대학교 일반대학원 미술치료학 박사학위 |
▷ 논문 2023 : 가족사진 앨범이 가지고 있는 미술치료 가능성 논고-디지털사진의 특성을 중심으로(국문화연구소) 2022 : 디지털아트의 창발성과 이연 연상이 갖는 미술치료적 가치(박사학위 논문) 2021 :자연치유의 공간에서 하는 Graffiti Knitting의 미술치료 가능성 논고(미술치료연구) 2013 : The Integrated Web Application Program for Mobile Contents (한국융합학회) 2010 : 디지털시대의 아바타 그 새로운 방향(한국영상학회) 2006 : 근.현대 나루와 주막문화의 변용 (문화콘텐츠진흥원) 2008 : 영양재래흑염소 브랜드 개발 (영양군) 2007 : 낙동강 나루터와 복원방향 (경상북도청) 2007 : 존애원 디지털 복원 프로젝트 (교육인적자원부) 2006 : 참건강고장 영양 통합CI구축 (영양군) ▷ 저서 2021 : 미술치료로 읽는 이야기(명화감상을 통한 마음의 치유) 2006 : 인터넷 활용 (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) : 실용컴퓨터 (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) 2005 : 모션그래픽스와 디지털영상편집 (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) 2019 : 톺아보는 포토샵(대구한의대학교 출판부) |
2002 : 공주대학교, 한밭대학교 강사 2003~현재 대구한의대학교 교수 2003~현재 : 대학, 교육청, 학회, 도서관, 기업, 향교 등 인문학, 심리상담사 연수 특강/미술공모, 레지던스, 영화 심사위원/학회 논문 심사위원 ▷ 개인전 2017 : 무제, 겔러리토마 (대구) 2014 : 숨쉬기, Gallery Gustave (파리) 2014 : 복제-날기,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(서울) 2013 : 바비-날다,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(서울) 2012 : 금나래겔러리 (서울) 2011 : 아바타, 세종문화회관 광화랑 (서울) 2010 : 쿠룬아쥐, 세종문화회관미술관 (서울) 2008 : 노스텔지아의 기억, 대구예술문화회관 (대구) 2006 : Beart 기획초대전 “자화상”, 베아트센터(평택) 2005 : “멀티토피아-노동의 종말”,Pleiades 겔러리 (뉴욕) 2004 : Multitopia 개인전,겔러리LUX (서울) 2003 : 겔러리 룩스 기획 영상/사진 개인전,겔러리LUX (서울) 2000 : 오피스 드 튜리쥼 드 리프랑쿠크 (프랑스) ▷ 단체전/영상전/퍼포먼스 2019 : 산타빌리지 영상트리, 대구예술발전소(대구) 2018 : 11회 29.97 미디어아트 상영회, 부산영화의 전당(부산) 2018 : 2018울산창작음악제 미디어파사드, 울산예술회관 외벽(울산) 2018 : 미디어글라스, 오봉동 문화광장(창원) 2018 : 9회 29.97 미디어아트 상영회, 부산영화의 전당(부산) 2017 : 겔러리토마 기획 디지털에러 3인전, 예술상회토마(대구) 2017 : 인 대구 미디어파사드, 대구문화예술회관 외벽(대구) 2014 : made in korea, USINE UTOPIK (프랑스) 2013 : 영상예술의 도시-대구, Urben-montage, 대구예술발전소(대구) 2012 : 영상예술의 도시-대구“삶 소통, 대구국립박물관(대구) 2012 : smart, 국민아트겔러리(서울) 2011 : 영상예술의 도시-대구, 대구국립박물관(대구) 2011 : 변화,변화,변화, 메이크샵 아트스페이스(파주) 2010 : doc창조공동체를 향하여, 서울산업대학교 100주년기념관겔러리(서울) 2009 : Meta-Date, 구로아트벨리 (서울) 2008 : 이미지의 반란, KT&G별관창고(대구) 2008 : Colorful Convergence, 경북대학교 미술관(대구) 2008 : Animation : Motion/Emotion, 서울여자대학교 바롬겔러리(서울) 2007 : 대원겔러리 개관기념 초대전-감염된 인물, 대원겔러리(서울) 2007 : montage/de-montage, 안단테겔러리(서울) 2006 : 비디오자키전, 베아트센터 (평택) 2006 : Hephaestus의 結婚, 관훈미술관 (서울) 2005 : 사진에 대한 새로운 조망, 대구문화예술회관 (대구) 2005 : 아시아비디오아트, 키노스튜디오 (도쿄) 2004 : 뉴미디어아트페스티발, 일주하우스 (서울) 2004 : 서울-신촌 아트페스티발 미디어아트전, 서대문형무소(서울) 2003 : 동경국제 비디오아트 컨퍼런스, 동경예술회관(일본) 2003 : 트루먼이 묵었던 남대문 2층 객실,학고제(서울) 2002 : 메핑코리아전, 일주아트하우스(서울) 2002 : 현대한국영화제2002, 나고야 아이치예술센터(일본) 2001 : 윈 수와레 드 퍼포먼스, F.T.C겔러리 (프랑스) 2001 : 현대예술비디오전, Theatre du manege (프랑스) 2001 : 국제청년작가전, 로겔러리(벨기에) 2000 : 현대예술비디오전, M.J.C Terre Neuve de Dunkerque(프랑스) 2000 : 현대예술비디오전 Tourcoing U.F.R Art plastique (프랑스) 1994 : 충남청년미술제, 성수대교를 위한 퍼포먼스(천안) 1994 : 대한민국미술대전, 과천현대미술관(과천) 1994 : 남부현대미술제, 대전화랑(대전) 1994 : 우르과이 라운드-퍼포먼스, 카페 플럭서스(천안) 1993 : 전국대학미술대전 수상전(금상), 예술의 전당(서울) 1993 : 신미술대전, 디자인포장센터(서울) ▷ 작품소장 F.T.C겔러리 (프랑스) 겔러리 LUX (한국) 한국영상자료원 (한국) |